마법의 돈 굴리기 - 직장인이 자산배분 전략으로 투자해야하는 이유

bearwoong

·

2020. 3. 29. 11:03

728x90

 

마법의 돈 굴리기 - 직장인이 자산배분 전략으로 투자해야하는 이유

투자 초보 직장인이 자산배분 전략으로 투자해야 하는 이유

마법의 돈 굴리기에서 저자는 자산배분 투자 전략이 시간이 없고, 초보 투자자인 직장인에게 적합한 투자 방법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자산배분 투자 전략은 분산투자의 구체적인 실행방법으로 다양한 자산군을 포함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운영하는 것을 뜻한다. (조금 더 자세한 자산배분 투자전략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어 볼 예정이다.) 투자 초보 직장인 투자자에게 자산배분 투자전략이 적합한 이유는 크게 세 가지이다.

1. 전문가는 믿음직스럽지 못하다.

전문가라고 하면 그 분야에서 공부도 많이하고 경험도 많은 사람들을 말하는데 전문가가 믿음직스럽지 못하다는 말은 조금 이상하게 들릴 수도 있다. 하지만 투자에 있어서 전문가는 아래의 두 이유로 믿음직스럽지 못할 수 있다. 

  • 전문가의 목표와 투자자의 목표가 다를 수 있다.

    우리가 전문가라고 생각하며 투자 상담을 받으러 가는 사람들을 생각해보자. 증권회사 직원, 은행 직원, 무료 재무상담사(보험 판매 중개인일 확률이 매우 높다)와 같은 사람들이다. 이 사람들은 투자자와 목표가 다르다. 투자자의 목표가 투자 수익률의 극대화라면 이 전문가들의 목표는 회사의 이익, 은행의 이익, 자신에게 떨어질 수수료의 극대화이다. 이런 중개인들은 자신에게 판매 수수료가 많이 남는 금융상품을 소개할 수 밖에 없다.
  • 전문가의 예측도 틀리는 경우가 다반사다.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다. 펠레의 저주만 봐도 전문가 예측의 정확성에 대해 의심해 볼 수 있다. 더군다나 수많은 변수들이 돌아다니는 시장에서의 정확한 예측은 전문가들이라도 불가능하다. 큰 흐름만 예상하는 것 뿐이다. 마법의 돈 굴리기에서 금융시장의 가장 유명한 최악의 예측을 소개하고 있다.
1929년 10월 어빙 피셔가 "주가는 영원히 하락하지 않을 고지대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당시 세계적으로 유명한 경제학자이자 예일 대학 교수였던 피셔가 이 말을 한 직후 주식시장이 하락하기 시작해 90%나 폭락했다. 이로 인해 수많은 업적에도 불구하고 예측 실패의 대표 사례로 언급되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전문가는 믿음직스럽지 못하다

2. 여러 투자 전략 투자 초보 직장인이 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마법의 돈 굴리기에서 몇 가지 투자 전략과 비교하여 이야기 하였는데 그 중 가장 익숙한 가치투자와 차트분석 두 가지만 봐도 자산배분 투자 전략이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가치투자

    가치투자는 기본적으로 투자하려는 기업의 적정 가치를 판단해서 그보다 싸면 사고 비싸면 파는 전략이다. 이 전략이 어려운 이유는 세 가지 이다.
    첫 번째, 적정 가치를 판단하기가 어렵다. 재무재표를 이해할 수 있어야하고, 경영 환경도 알아야하며, 다양한 투자지표를 확인해야한다. 초보 투자자들에게는 무엇하나도 쉽지 않다.
    두 번째, 마음을 컨트롤하기가 어렵다. 기본적으로 가치투자는 남들과 반대로 행동해야되며, 투자한 회사의 가격이 오르는 때가 정해져있지 않아 인내의 시간이 아주 길어질 수도 있다.
    세 번째, 많은 기업을 분석할 시간이 모자라다.

  • 차트분석 투자

    차트분석은 가격 또는 거래량 등을 계량화 차트화로 단순화하여 패턴을 찾아낸다. 그 패턴에 따라 발생하는 매수나 매도 신호에 따라 매매를 한다. 차트분석은 그 자체에 대해서도 유효한 전략인지 아닌지에 관해 논란이 많을 뿐더러 직장인인 우리는 매시간 차트를 보고 있을 수 없기 때문에 활용하기 어려운 전략이다. 

  • 자산배분 투자

    자산배분 투자는 투자할 자산군과(미국주식, 한국주식, 금, 부동산, 채권 등) 투자할 비율을 미리 정해놓는다. 개별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치투자만큼 자산군을 고르는데 오래 걸리지도 않을 뿐더러 투자할 비율을 정해놓고 본인이 정한 규칙에 따라서만 매매하면 되기 때문에 가격을 매번 보고 있지 않아도 된다.

3. 리스크(위험성) 관리가 된다.

버블과 폭락이 언제 일어날지 예측할 수 없는 초보 투자자들은 리스크 관리가 최우선이 되어야 한다. 자산배분 투자는 장기투자와 분산투자를 함으로써 시장의 위험을 최대한 막아줄 수 있다.

  • 장기투자

    주식은 위험해서 하면 안되는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주식조차 장기로 투자할 때 손실확률이 급격히 떨어진다. (개별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아닌 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투자했을 때이다.) 리처드 번스타인의 <소음과 투자>에 보면 주식에 10년 단위로 투자했을 때 손실 확률은 0%이다. 자산배분 투자는 장기투자함으로써 리스크를 관리 할 수 있다.

  • 분산투자

    자산 배분 투자는 여러 투자 자산에 자금을 나누어서 투자함으로써 리스크를 관리한다. 투자 자산은 서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자산들을 선택하는데 이로인해 분산투자의 효과가 극대화 된다.
    (음의 상관관계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격이 움직이는 자산들을 말한다. 예를들어 주식과 채권이 있다.)

리스크 관리가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