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의 돈 굴리기 - 투자 자산 선정과 상관관계 (주식, 채권, 현금, 금)

bearwoong

·

2020. 3. 30. 07:17

728x90

 

마법의 돈 굴리기 - 투자 자산 선정과 상관관계 (주식, 채권, 현금, 금)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자산에 투자

자산배분 투자 전략은 여러 자산군에 장기적으로 투자한다. 이를 위해서는 투자 대상을 선정할 때 '장기적'으로 '우상향' 하는 자산군을 골라야 한다. 쉽게 말해서 순간순간은 가격이 떨어질 수도 있지만 길게 가지고 있으면 오르는 자산군들로 자산배분 투자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법의 돈 굴리기에서 말하는 투자할 자산군은 주식, 채권, 현금, 금이 있다. (다만 부동산은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키는 것을 부정적으로 보았다.)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에 투자

상관관계란 자산 가격이 오르고 내리는 움직이미 얼마나 '상관'있는지를 말한다. 양의 상관관계는 가격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고, 음의 상관관계는 가격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면서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군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수익을 양보하지 않으면서 위험을 낮추어 투자할 수 있다.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에 투자해야 한다.

주식 

주식은 위에서 말한 자산군들 중에 수익률이 가장 높은 자산이다. 대신 변동성도 가장 높다.
주식을 투자하는 방법은 개별 회사 주식에 직접투자, 주식형 펀드를 통한 간접투자, 주식시장 자체에 투자하는 지수투자 3가지가 있다.

직접투자
직접투자는 우선 어떤 회사의 주식을 살 것인가부터가 문제이고, 개인 투자자는 빈번한 거래로 수익률을 떨어뜨리며, 주가 움직임에 대한 본인의 예측력을 과신하여서 투자 성과가 좋지 않다고 한다. 통계적으로 봤을 때 개인 투자자의 성과는 시장수익률보다 낮다.

간접투자
주식형 펀드를 통해서 주식에 간접투자 할 수 있다. 펀드를 운용하는 펀드매니저는 직업으로서 투자를 하니 개인보다 투자를 잘할 것이라 생각하지만 펀드매니저도 지속적으로 시장을 이길 수는 없다. 별점을 4~5개 받았던 펀드들 중 10년 뒤에도 여전히 별점을 5개 유지한 펀드는 1.6%에 불과했다. 또 펀드는 운용비용이 꾸준히 빠져나간다.

지수투자
지수투자는 주가지수를 상품화한 인덱스에 투자함으로써 주식시장 자체에 투자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한국에는 코스피 200 지수가 있다. 코스피에서 상위 200개 회사를 모아서 만드는 지수이다. 성과가 나쁜 회사는 자동으로 코스피 200 지수에서 빠지고 성과가 좋은 회사가 그 자리를 차지하므로 지수는 장기적으로 봤을 때 좋은 결과를 낼 수밖에 없다. 

주가지수를 따라가는 투자상품으로는 ETF나 인덱스펀드가 있다. 코스피 200 지수에 투자하고 싶으면 TIGER200 이나 KODEX200 같은 ETF 상품을 살펴보면 된다.

채권

채권은 돈을 빌려주고 원금과 이자를 받을 권리이다. 마법의 돈 굴리기에서는 회사채보다는 국채에 투자할 것을 권한다. 국채는 나라에서 지급을 보증하기 때문에 부도가 날 확률이 아주 적기 때문이다. (정부도 파산을 할 때가 있긴하다. 하지만 미국이나 한국은 파산의 위험이 거의 없다.) 

채권은 장기 수익률이 주식보다 낮다. 그럼에도 포트폴리오에 넣는 첫 번째 이유는 변동성이 낮아 안정적이고, 장기적으로 물가상승률 이상의 수익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채권 ETF를 보면 부드럽게 우상향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채권에 투자하는 두 번째 이유는 주식과 국채는 음의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이다. 즉, 주식이 올라갈 때 채권은 주춤하거나 약간 하락하고 주식 가격이 하락할 때 채권 가격은 상대적으로 올라간다는 뜻이다.

채권투자

현금성 자산

현금성 자산은 언제든지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유동성 높은 자산을 뜻한다. 위에 살펴본 주식과 채권이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지만 종종 양의 상관관계를 갖기도 한다. 가격이 둘다 오르면 좋지만 둘 다 떨어질 대도 있는데 이 때를 위해서 주식, 채권 모두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현금성 자산이 필요하다. 다만 현금으로 보유할 경우 물가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해 꾸준히 손실이 생기니 MMF나 CMA 상품을 가입하는 것이 좋다. MMF는 주로 은행, CMA는 주로 증권사에서 가입할 수 있는데 둘다 아주 우량한 단기채권에 투자하여 이자를 주는 상품들이다. (예금자 보호는 되지 않는다.) 

마법의 돈 굴리기에서는 '금이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대비하는 투자처로 인식되고 있지만 인플레이션을 헤지 하는 수단으로 투자를 하는 것은 위험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중앙은행의 간섭과 정치, 경제 이슈가 금 가격에 영향을 많이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금 가격 추이에서 물가상승률만큼을 뺀 금 가격 추이(오랜지색)를 보면 물가 상승률을 쫓아가지 못한 경우가 훨씬 많다. ( 0이 물가상승률 만큼 가격이 오른 것)

물가상승률을 뺀 금 가격 추이

하지만 금은 주식, 국채, 부동산 모두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험을 대비하는 목적으로 투자를 하기에는 좋은 자산이다. 금을 포트폴리오에 넣음으로써 포트폴리오 전체의 변동성을 낮춰줄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