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찰리 멍거 투자원칙 1 (기업 이해)

bearwoong

·

2020. 4. 4. 12:13

728x90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찰리 멍거 투자원칙 1 (기업 이해)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찰리 멍거 투자원칙 1 (기업 이해)

주식 투자를 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워렌 버핏은 한 번쯤 들어봤을 이름이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CEO로 자타공인 투자의 신이다. 반면 찰리멍거는 거의 들어본 적이 없는데 찰리 멍거는 워렌 버핏의 동업자로 거의 평생 함께 투자를 한 사람이다.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에서는 찰리 멍거의 투자원칙 4가지를 자세하게 이야기하고 있는데 그 중 첫 번째 원칙이 '자신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이다.

자신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 처음부터 다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다만 공부를 했을 때 해당 기업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예측할 수 있으면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내가 카카오를 투자하려고 할 때, 내가 카카오에 대해서 모든 것을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IT에 관련해서 어느정도 지식이 있어서 카카오를 공부하여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은 갖춰져 있어야 된다는 뜻이다.

공부하면 이해할 수 있는 기업을 찾았으면 기업을 공부해서 그 기업을 이해해야한다. 그래서 기업의 행동이 이해가 되는 시점에 이르면 투자를 하는 것이다. 이에 관해서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은 아래와 같이 말한다.

그 기업을 이해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 기업의 모든 것을 알기에는 정보의 양이 너무 방대하다. 우리는 기업을 이해하는 것과 모든 것을 아는 것 사이에 서 있다가 예측 불가능한 사건에 기업이 어떻게 반응하고 어떤 행동에 나설지 이해가 가능해지는 '스위트 스폿', 즉 최적 지점에 이르면 투자에 나선다.
기업을 조사할 때 자신에게 스위트 스폿에 도달할 잠재력이 있는지, 아니면 단순히 바로 지금 어려운 것인지 자신이 가진 지식과 경험을 이용해서 판단해야 한다.

자신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처음 기업을 공부하기 시작하면 거의 대부분 이해하기 어렵다고 생각할텐데 그게 정상이다. 경험이 풍부한 가치투자자들도 검토하는 기업의 90퍼센트 이상이 이해하기 너무 어렵거나, 이해가 전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한다. 그러니까 소수의 기업을 공부하기 시작해서 점차 늘려나가야 한다.

그리고 기업 뿐만아니라 그 기업이 속해있는 산업도 이해해야 한다. 산업 또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산업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자신이 종사하고 있는 산업이나 어느정도 아는 산업으로 시작해서 그 산업에 집중해서 공부하면 도움이 된다.

산업이나 기업을 이해할 수 있을지 판단하려면 그 산업이나 기업의 기본 개념이 익숙한 것인지 파악해야 하고 그러려면 사전 조사가 필요하다. 기본 개념이 낯설다면 '너무 어렵다'는 뜻이다.

투자 대가들

수많은 기업들 중에서 투자의 대가라고 불리는 사람들(워렌버핏이나 찰스 멍거, 가이 스파이어, 데이비드 아인혼 등)의 매수 기록을 보고 범위를 좁히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1억 달러 이상의 펀드를 운영하는 사람들은 분기마다 매매한 주식을 SEC에 보고해야 하기 때문에 투자 대가들의 매매기록을 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아래 사이트에 들어가면 보기좋게 정리까지 되어있다.

http://www.ibillionaire.me/

 

iBillionaire – Investment Ideas from Wall Street Billionaires

By clicking "I understand and I wish to continue", you acknowledge you are leaving the iBillionaire website to enter the Direxion Investments website. The Direxion Investments website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Direxion iBillionaire Index ETF, which is

www.ibillionaire.me

이 투자 대가들의 포트폴리오를 따라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수 있지만 몇 가지 문제가 있다.

  1. 매수나 매도가 이루어지고 1분기가 지난 다음에 공개되기 때문에 항상 오래된 정보일 수 밖에 없다.
  2. 전체 자금 대비 매수 상황을 파악해야하는데 보유중인 현금은 공개되지 않는다.
  3. 공매도 포지션은 기록되지 않는다.

즉, 위의 포트폴리오가 투자 대가들의 상황전체를 보여주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긴하지만 아이디어나 사례로서 충분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정보들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