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Shareholder)와 이해관계자(Stakeholder)의 차이

bearwoong

·

2020. 4. 13. 17:29

728x90

 

주주(Shareholder)와 이해관계자(Stakeholder)의 차이 썸네일
주주(Shareholder)와 이해관계자(Stakeholder)의 차이

주주(Shareholder)와 이해관계자(Stakeholder)의 차이

기업 투자에 관련했을 때 주주(Shareholder)와 이해관계자(Stakerholder)가 있다. 주주와 이해관계자는 (영어로 봤을 때) 비슷한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회사에 대한 투자는 전혀 다르다.

주주는 항상 법인의 이해관계자지만 이해관계자가 항상 주주인 것은 아니다. 주주는 주식으로 기업의 일부를 소유하는 반면, 이해관계자들은 주식실적이나 감사 이외의 이유(예를들어 기업에서 일을 하며 월급을 받는다던가, 기업에 물품을 납품한다던가)로 회사의 성과에 관심을 가진다. 이러한 이유들은 종종 주주들보다 이해당사자의 입장에서 기업이 꾸준히 성장해야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주주의 역할

주주는 회사의 주식을 최소 1주 이상을 소유하는 개인, 회사 또는 기관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회사의 재무적 수익성에 관심이 있다. 예를 들어, 주주는 그들의 은퇴 포트폴리오의 일부에 주식을 매앱해 놓고 주가가 상승하기를 바라는 개인투자자일 수 있다. 주주들은 의결권을 행사하고 회사의 경영에 영향을 미칠 권리가 있다. 주주는 회사의 소유주지만 회사의 부채에 대한 책임은 없다. (개인 회사, 개인 소유권, 파트너십의 경우, 소유주들은 회사의 부채에 대해 책임이 있다.)

이해관계자의 역할

우선 아래와 같은 사람들이 이해관계자가 될 수 있다.

  • 소유주와 주주
  • 그 회사의 직원들
  • 회사에서 발행한 부채를 소유하고 있는 채권 보유자들
  • 특정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 의존해야 하는 고객
  • 회사에 의존하여 일관된 수익 흐름을 창출하는 납품 업체

주주는 기업의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주주들이 가장 큰 범위의 이해관계자일 수 있지만, 그 외의 집단들도 이해관계자로 간주되는 것이 더 흔해졌다.

주주들은 그들의 주식을 팔고 다른 주식을 살 수 있다. 따라서 그들은 그 회사를 장기적으로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해관계자들은 더 긴 기간 동안 그리고 더 큰 필요로 회사에 구속된다. 예를 들어, 회사가 재정적으로 좋지 않은 실적을 내게 되어 더 이상 공급업체들의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다면, 그 회사의 공급망에 있는 공급업체들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해당사자인 동시에 소득을 회사에 의존하는 회사 직원들은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다. 이해관계자와 주주는 조직이나 회사와의 관계에 따라 경쟁적 이해관계를 갖는 경우가 많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등장

기업이 자신과 이해관계자, 대중에게 사회적 책임을 지도록 하는 자율규제형 비즈니스 모델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등장으로 기업들이 모든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고려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의사결정 과정에서 기업은 주주의 이익에만 근거한 선택을 하는 대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수 있다. 일반 대중은 이제 기업의 사회적 책임 경영에 따라 고려되는 외부 이해 관계자이다. 조금 더 자세히 예를 들어보면, 기업의 운영이 환경오염을 증가시키거나 공동체 내의 녹지공간을 빼앗을 수 있을 때, 일반 대중은 악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결정은 주주 이익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이해관계자들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법과 규제 요건을 훨씬 뛰어넘을 정도로 기업이 사회복지를 보호하는 선택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