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확증편향 피하는 방법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재테크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확증편향 피하는 방법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확증편향 피하는 방법 한경 경제용어사전에서는 확증편향을 이렇게 정의한다. 선입관을 뒷받침하는 근거만 수용하고, 자신에게 유리한 정보만 선택적으로 수집하는 것이다.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는 현상인데, 정보의 객관성과는 상관없다. 투자자가 어떤 주식에 대해서 열심히 공부하고 투자하였을 때, 그 기업의 장점과 성장성만 보고 단점이나 위험성은 고려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확증편향이라고 말할 수 있다.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에서는 이를 피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세 가지 제시하고 있다. 동료 투자자들과 이야기하기 동료 투자자들에게 본인이 공부한 기업에 관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그 주식을 사야한다는 주장이나 팔야야 한다는 주장에 논거를 제시하며 ..

2020.04.08 게시됨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찰리 멍거 투자원칙 4 (적절한 가격)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재테크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찰리 멍거 투자원칙 4 (적절한 가격)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찰리 멍거 투자원칙 4 (적절한 가격) 찰리 멍거의 네 가지 투자원칙 중 마지막 원칙은 '타당한 수준에 안전마진까지 확보한 가격'이다. 쉽게 말해서 합리적인 가격을 찾고 사진않고 기다리다가 합리적인 가격보다 더 떨어지면 사라는 것이다. 말이야 쉽다. 합리적인 가격을 안다면 누구든지 그렇게 하겠지만 합리적인 가격을 모르는 것이 가장 큰 문제 아닌가.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에서는 합리적인 가격을 구하는 3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세 가지 방법은 서로 다른 근거를 두고 가격을 산출하기 때문에 기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고, 더 합리적인 가격을 찾을 수 있게 해준다. 10캡 가격(주주이익 기준) 10캡 가격을 설명하기 위해 부동산 투자를 예로 든다. 부동산 투자자들은 '자본..

2020.04.06 게시됨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찰리 멍거 투자원칙 2,3 (경제적 해자, 경영진 )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재테크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찰리 멍거 투자원칙 2,3 (경제적 해자, 경영진 )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레슨-찰리 멍거 투자원칙 2 (경쟁우위, 해자) 찰리 멍거의 투자원칙 1을 이용해서 기업을 이해할 수 있게 되면, 해당 기업이 고유한 경쟁 우위를 보유했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이를 버핏의 가치투자에서는 '해자'라고 불린다. 해자는 경쟁자의 진입을 제한해 장기적인 현금흐름 창출을 가능하게 한다. 해자의 다섯 종류 브랜드 : 경쟁상대가 될 만한 강력한 브랜드가 등장할 가능성이 매우 적은 경우. 해당 산업을 대표하는 브랜드가 된 경우도 브랜드 해자에 해당한다. 교체 : 고객이 경쟁 제품이나 서비스로 갈아타기가 매우 어렵거나, 비용이 많이 들거나, 과정이 번거로운 경우 (네트워크 효과도 교체 해자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카카오톡, 페이스북 같이 다른 서비스로 갈아타면 기존 네트워크에 대..

2020.04.05 게시됨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찰리 멍거 투자원칙 1 (기업 이해)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재테크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찰리 멍거 투자원칙 1 (기업 이해)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찰리 멍거 투자원칙 1 (기업 이해) 주식 투자를 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워렌 버핏은 한 번쯤 들어봤을 이름이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CEO로 자타공인 투자의 신이다. 반면 찰리멍거는 거의 들어본 적이 없는데 찰리 멍거는 워렌 버핏의 동업자로 거의 평생 함께 투자를 한 사람이다.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에서는 찰리 멍거의 투자원칙 4가지를 자세하게 이야기하고 있는데 그 중 첫 번째 원칙이 '자신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이다. 자신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 처음부터 다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다만 공부를 했을 때 해당 기업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예측할 수 있으면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내가 카카오를 투자하려고 할 때, 내가..

2020.04.04 게시됨